혀에 생기는 백태 원인, 증상, 제거방법 및 예방법

혀에 하약색이나 노란색의 백태가 생기면 말을 할 때나 식사할 때 많은 신경이 쓰이게 됩니다. 백태가 생기면 미관에도 좋지 않을뿐더러 입냄새까지 나는 경우가 있어 고민이 됩니다. 이러한 백태가 왜 생기는지, 어떻게 관리하면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

혀 백태 원인

백태 증상

건강한 혀는 옅은 분홍색이나 약간 흰색이 섞인 분홍빛을 띠는데, 혀에 백색, 회백색 또는 누런색을 띠는 물질이 껴있는 경우를 백태라고 합니다.

백태의 주요 원인은 구강 내에 수많은 미생물(세균, 곰팡이)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미생물들이 식사 후 음식물을 분해면서 생기는 백색 물질이 혀에 부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이 건조하면 백태가 생길 수 있는데, 충분한 침 분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강 내가 건조해질 경우 백태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규칙한 식사, 흡연 및 음주는 구강 내에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여 백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혀 백태 증상

혀 백태의 증상은 먼저 혀 표면 전체 또는 넓은 부위에 백색 또는 누런색의 부착물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백태로 인해 나쁜 입냄새가 발생하여 말을 할 때나 식사할 때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혹시 감기에 걸리지 않았는데, 목이 따끔거린다면 혀를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백태가 쌓이면 뒷목 부분에 불쾌감이나 따끔거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백태와 함께 입안이 자주 마른다면 구강건조증 때문일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은 침 분비가 줄어들어 입안이 마르는 질환인데, 혀에 백태가 생기고 혀가 갈라져 보이는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혀 백태 제거 방법

양치질할 때 칫솔로 백태를 제거하려는 분들이 있는데요. 혀의 작은 돌기(유두)에 구강 내 세균들이 들러붙어있기 때문에 칫솔로 혀를 닦아도 잘 제거되지 않습니다.

양치질을 한 뒤에 혀 클리너를 이용해 백태를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혀 클리너를 이용할 때 너무 무리하게 닦는 것은 피해야 하는데요. 너무 강하게 사용하면 혀에 상처가 생겨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치질 후에 세균 항균제 성분이 들어있는 구강 청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구강 내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백태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혀 백태 예방 및 관리법

6개월마다 한 번 이상 치과에서 정기적인 구강 검진을 받도록 합니다.

하루에 3번 이상 양치질을 합니다. 침 안에 있는 세균들이 자는 동안 번식하기 때문에 먼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양치질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 후 음식물을 분해면서 생기는 백색 물질이 혀에 부착하는 경우 백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식사 후에는 반드시 양치질을 합니다.

자기 전에 양치질을 합니다. 자기 전에 양치질하면 구강 건강을 지키는 것은 물론,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냄새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평소 물 마시기 습관을 통해 구강 내를 항상 촉촉하게 유지하면 백태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위에서 말씀드린 방법으로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다른 질환일 수 있으니 병원에 가셔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커피, 탄산음료 등을 많이 마시는데요. 특히 프림이 들어있는 커피를 마실 경우 백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흡연 및 음주 습관도 백태 발생에 영향이 있으니 자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물 마시기 습관, 하루에 얼마나 마시는게 좋은가?
허리가 아프신가요? 코어근육을 강화해 보세요

Leave a Comment